728x90

문제


 

파장분할다중화방식(WDM)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선로의 증설 없이 회선의 증설이 어렵다.

2. 광증폭기를 사용해 무중계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3. 광학적인 방법에 의해 신호를 시간축에서 다중화하는 방식이다.

4. 각각의 채널은 같은 전송 형식, 전송속도, 프로토콜 형식을 가진다.


 


<문제 해설>

출처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파장분할 다중화방식(WDM)

- 여러 파장대역을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광 다중화 방식

- 각 입력 채널 마다 다른 각각의 파장대역 할당

 

특징

- 선로의 증설 없이 회선증설 용이

- 전송거리가 TDM 방식 보다 더 길게 할 수 있음

- 양방향 전송 가능

- 서로 다른 전송률과 프로토콜이 갖는 파장 채널들로 공존 가능

- 광수동소자만으로 쉽게 분기결합 구현 가능

- 광섬유 추가 포설이나 전송장비의 교체 없이 다른 파장 채널을 추가해 전송용량 쉽게 확장 가능

- 중장거리 통신에 주로 활용(광증폭기 사용)

 

 

*정답- 2. 광증폭기를 사용해 무중계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728x90
728x90

문제


 

데이터 흐름 제어(Flow Control)와 관련 없는 것은?

 

1. Stop and Wait

2. XON/XOFF

3. Loop/Echo

4. Sliding Window


 

 

<문제 해설>

 

Stop and Wait

- 송신 측이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 측의 확인 응답(ACK)를 기다리는 방식

 

XON/XOFF

- 소프트웨어 흐름 제어 방식, 수식 측에서 전송을 시작하거나 중지시키기 위해 신호를 사용

 

Loop/Echo

- 네트워크 테스트나 디버깅에서 사용되는 방법,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 측에서 다시 송신 측으로 반송되는 것을 의미하며      데이터 전송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Sliding Window

- 송식 측이 여러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수신 측이 확인 응답을 통해 수신 상태를 알려주는 방식

 

 

*정답 - 2. XON/XOFF

728x90
728x90

문제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단위를 나타내는 용어는?

 

1. 세그먼트

2. 패킷

3. 프레임

4. 비트


 

<문제 해설>

 

정답은 2번이다.

 

어쩔 수 없다. 외워야 한다.

 

OSI 7 Layer/7계층

1계층 : 물리 계층 - 비트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 패킷

4계층 : 전송 계층 - 세그먼트

5~7계층 : 메시지로 데이터 단위를 나타냄.

 

728x90

+ Recent posts